이 글은 [ 중기채권 :: 한국 국채 ETF 비교 (2) ]에 관한 글입니다.]
▶이전글 – 단기채권 :: 한국 국채 ETF 비교 (1)
중기채권 :: 한국 국채 ETF 비교
중기채권이란 만기기간이 10년 정도인 채권을 말합니다. 한국 대표 중기 채권 ETF 4종류를 비교해보고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결론>
- KOSEF 국고채 10년에 투자하자!
아래 표는 국내 10년 중기채권 대표 ETF입니다. 각 부분을 비교해보고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ETF종목명 | 총 자산규모 | 운용보수 | 1년 수익률 |
KOSEF 국고채 10년 | 5,127억 원 | 0.05% | 1.3% |
KBSTAR 국채선물 10년 | 162억 원 | 0.119% | 1.77% |
KODEX 국채선물 10년 | 1,272억 원 | 0.076% | 1.9% |
ARIRANG 국채선물 10년 | 81억 원 | 0.089% | 1.84% |
기본 정보 비교
총 자산규모
- 총 자산규모 큰 순: KOSEF > KODEX > KBSTAR > ARIRANG
KOSEF는 키움자산운용에서 출시한 ETF인데요. 4개의 국채 ETF 중 KOSEF의 규모가 가장 큽니다. 총 자산규모가 클수록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총 자산규모가 큰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용보수
- 운용보수 낮은 순: KOSEF > KODEX > ARIRANG > KBSTAR
운용보수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요. 운용보수는 KOSEF가 가장 낮습니다.
1년 수익률
- 1년 수익률 높은 순: KODEX > ARIRANG > KBSTAR > KOSEF
KODEX의 수익률이 1.9%로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4개의 ETF 모두 수익률이 1% 대로 비슷합니다. 따라서 수익률을 기준으로 특정 ETF를 선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구성종목 비교
ETF종목명 | 구성종목 |
KOSEF 국고채 10년 | 1.국고03375-3206(국고22-5) 2.국고02375-3112(국고21-11) 3.국고02000-3106(국고21-5) 4.KOSEF 단기자금 5.KOSEF 통안채1년 |
KBSTAR 국채선물 10년 | 1.설정현금액 2.원화예금 3.국채선물23년6월물(장기) |
KODEX 국채선물 10년 | 1.설정현금액 2.원화현금 3.2023-06 국채선물10(신) |
ARIRANG 국채선물 10년 | 1.국채선물23년06월물(장기) 2.원화예금 3.설정현금액 |
구성종목을 비교해보면 모두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모두 만기일이 10년인 국고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기채권 특징
만기일이 10년 정도 되는 중기채권의 경우 단기채권보다는 수익률이 좋으면서 장기채권보다는 수익률이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즉, 중간정도의 수익률과 중간정도의 안전성을 보입니다.
아래 사진은 장기 채권(TLT), 중기 채권(IEF), 단기 채권(SHY)을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만기일이 20년 이상인 TLT의 수익률이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3년 미만인 SHY의 수익률이 가장 저조합니다. 마지막으로 만기일이 7~10년인 IEF의 수익률은 그 중간 정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중기 채권에 투자할 때는 수익률이 중간 정도 된다는 사실을 알고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수익률이 높으면 좋지만 그만큼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장기 채권만큼 높은 수익을 내긴 어렵지만 일정 기간마다 분배금을 지급하므로 적금에 돈을 넣어 놓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KOSEF 국고채 10년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 이유는 총 자산규모가 가장 크고 운용보수가 가장 낮기 때문입니다.
▶다음글 – 장기채권 :: 한국 국채 ETF 비교 (3)
이상 중기채권 :: 한국 국채 ETF 비교 (2)에 관한 글이었습니다.